뒤켠에 서서 먼저 지목받지 못한 채 어떻게던 기회를 얻기 위해 혼자 발악하며 사는 삶도 지겹고 지친다. 요즈음은 요통이 심하다. 공연을 한 번 마치고 내려오면 허리 뒷편이 아프고 발이 지친다. 내 마음의 허리와 발도 그렇게 지친걸까, 근래에는 기절하듯 잠에 들며 하루를 어찌 보낸건지 기억도잘 나지 않는다. 있죠, 삶은 보통 이상하리만치 무언가 하나 없어져도 어느 순간 잊혀지는 듯 해요. 언제나 나는 내게 먼저 손 내미는 이가 많지 않기에 내 스스로 무언가를 어떻게던 잡아채려 노력하며 살아온 듯 한데, 그 탓인지 중독적이다 싶게 일을 구하는 일을 멈추지 않으며 여유의 생각을 가질 수 없도록 평안을 줄 수도 있는 주변을 지우는 나쁜 습관이 생겼나보다. 그렇게 누군가는 나를 잊고 나는 누군가를 잊으려 한다. ..
적막한 밤이 삶의 연장을 억지로나마 다잡아주는 계절이다. 누군가의 글로 마음을 다치고, 누군가의 말로 마음을 여민다. 홀로서 무언가를 지으며 모든 말을 삼키어내는 내 고집이자 습관은 여전히 지금도 변치 않았지만, 몇 곳에서 보여지는 모습들로 누군가는 내 주변의 유대감 혹은 관계를 오해하고 만다. 그렇지만 나는 아이러니하게도 여전히 홀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이 매일을 지내며 누군가의 곁에 있길 두려워하고 걱정하게 된다.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더 스스로 누군가에게 쉽사리 곁을 내주지 못하고 말을 아끼는 사람이 되니 참 우스운 일이네. 특히나 여러 일이 있던 이번 여름, 나는 더욱더 혼자가 아닌 집단과는 무의식적으로 거리를 두려 하고, 불특정다수가 보는 곳에 무언가 적는 일에선 진담의 비중을 덜어냈다. 누군..
https://en.wikipedia.org/wiki/Acousmatic_music Acousmatic music - Wikipedia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cousmatic music (from Greek ἄκουσμα akousma, "a thing heard") is a form of electroacoustic music that is specifically composed for presentation using speakers, as opposed to a live performance. It stems from aen.wikipedia.org
https://en.wikipedia.org/wiki/K%C3%BCnstlerroman Künstlerroman - Wikipedia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Literary genre A Künstlerroman (German pronunciation: [ˈkʏnstlɐ.ʁoˌmaːn]; plural -ane), meaning "artist's novel" in English, is a narrative about an artist's growth to maturity.[1][2] It could be classified as aen.wikipedia.org
매일 하염없이 무너지고 부서진다. 오래 전 같거나 닮은 음악을 듣고 나누며 오래 된 영화와 만화책을 보며, 말도 안 되어 보이는 미래의 이야기들을 마치 눈 앞 손만 뻗으면 닿을 수 있는 것 처럼 말했던 주변 중 내게 남은 이는 누가 있을까. 청승맞게 과거를 그리워하는 것은 아니지만 눈만 감아도 선명한 표정과 말투는 종종 일상에서 문득 떠올라 눈물이 올라오게 만든다. 나는 이제 어떤 꿈을 그리기보다는 꾸었던 꿈의 결론을 만들기 위해 매일의 나의 일부를 깎아가며 살아가는 기분이다. 이루어지지 않을거야, 라는 냉소는 회피에 가까운 일종의 자기최면. 그럼에도 나는 계속할 수 밖에 없다. 지금 당장 내가 해야 하는 맡은 역할이 있고, 내 스스로의 마음 속 떠오르는 소리들이 있다. 고독해도 짓는 일 밖엔 할 수 없..